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설명 == 설치하면 핍보이의 라디오 기능을 통해 외계인의 통신을 들을 수 있게 되고, 맵상에 새로 추가된 외계인 비행선 추락 장소로 가면 [[에일리언(폴아웃 시리즈)|외계인]]의 [[모선]]으로 납치당하게 된다. 사실 이는 완전히 새로운 지역이 아니고, [[폴아웃 시리즈/랜덤 인카운터|랜덤 인카운터]]에서 추락하는 우주선 관련 물건들이 떨어지는 곳이기도 하다. 원래 맵 마커가 없던 숨겨진 지역이였는데 이것을 정식 지역으로 바꾼 것. 납치된 [[외로운 방랑자]]는 외계인들의 괴상한 인체실험을 겪은 뒤 감옥에 감금된다. 감옥 내부에서 만난 전직 노예 사냥꾼인 [[소마(폴아웃 3)|소마]]와 협력하여 감옥에서 탈출하고, 대전쟁 이전에 납치되어 오랜 체류 기간 덕분에 모선 구조를 손바닥 보듯 꿰뚫고 있는 [[샐리(폴아웃 3)|샐리]]라는 어린아이를 비롯한 다양한 전쟁전 생존자들과 조우한다. 외로운 방랑자는 이들과 힘을 합쳐 외계인들을 하나하나 처리해가며 더욱 많은 생존자들을 구하여 그들과 협력하고, 최종적으로는 함선 전체를 빼앗은 뒤 추후 출동한 다른 외계 모선과 전투를 벌이고 그마저 격파한 뒤 지구로 귀환한다는 훈훈한 스토리이다. 외로운 방랑자는 수도 황무지만이 아니라 지구도 구한다! 스토리는 [[오퍼레이션 앵커리지]] 못지 않게 완벽한 일직선 방향으로, 모선의 브릿지에 도달하여 주인공 일행이 탑승한 모선을 공격하는 다른 외계인 모선을 부숴버리고 지구로 귀환하는 것. 참고로 중요한 것은 이 DLC의 메인 퀘스트 마지막을 완료하면 모선의 대부분의 장소로 통하는 문이 다른 모선과 함포전 중에 전부 파괴되어버려서 '''이 DLC와 관련된 대부분의 장소들에 갈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여기에 있는 물건들이나 퍽들은 반드시 모두 회수한 후에 마지막 퀘스트를 클리어하는 것이 좋다. 인물들 간의 갈등이나 놀라운 반전 같은 것은 '''전혀 없다.''' 그저 방해하는 외계인들을 마구잡이로 도륙하다보면 DLC가 끝난다. 하지만 가장 마지막으로 추가된 DLC여서인지 던전 자체의 '''난이도는 상당히 높다.'''[* DLC중 이 DLC를 먼저 하게 되면 다른 DLC들이 쉬워 보일 정도.] 던전 자체의 크기는 별로 크지 않은 반면 적은 더럽게 많이 나오고 일부 정예병들의 경우 [[Broken Steel]]의 3대 본좌 몬스터에 버금갈 만큼 강력하다. 마더쉽 제타 자체가 고레벨에 오면 굉장히 골치아플 정도로 전투병이 아예 없고 전부 정예병에다가 에일리언들의 방어막 DR 값이 110%까지 오르고, 무기 공격력까지 강력해지기 때문에 최대한 중렙 정도때 오는 것을 권장한다. 만렙을 찍고 왔다면 에일리언들에게 몇대 맞고 그대로 드러누워버리는 지옥을 볼 수 있다. 쉽게 깨고 싶다면 [[중국 스텔스 아머]]와 [[사람따개]]를 구해서 다니자. 어차피 여기에 올 레벨이면 둘 다 구했을 것이고, 사람따개의 DR 무시 공격으로 체력은 약한 에일리언들을 쉽게 처치할 수 있다. 스텔스 아머는 은신용이라기보단 거리를 좁히기 위한 용도. 좁고 긴 통로가 많은 외계인 우주선 특성상 완벽한 은신으로 모든 루트를 통과하기에는 다소 어렵다. 또한 단순하게 필드에 늘어선 적들을 차례차례 해치우던 오퍼레이션 앵커리지와 달리 외계인 적들은 갑자기 뒤에서 리스폰 하거나 접근불가능한 방에서 우르르 쏟아져나오기도 하는 등 전투 패턴 역시 까다로워졌다. 때문에 원래 전투를 좋아하는 유저라면 원없이 전투를 할 수 있다. 냉동된 지구인을 해동시키고 발전기 3개를 파괴하는 Among the Stars은 선형적인 이 DLC에서 유일하게 비선형적인 [[오픈 월드#s-6.3|허브 월드]] 구조를 취하고 있는 레벨이다. [[외로운 방랑자]]는 생존자들이 터를 잡은 엔지니어링 코어를 허브로 삼아 여기서 수면, 수리, 워크벤치 이용, 생존자와의 대화 등을 하면서 쉴 수 있다. 플레이어가 개입하지 않아도 자기들끼리 하는 대화를 들을 수 있다. 여기서부터 퀘스트를 위해 로봇 조립실, 냉동 연구실, 격납고 3개 장소를 마음대로 탐험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각 방에 어울리는 생존자 한 명씩을 동료로 데려갈 수 있다. 또한 퀘스트를 위한 발전기 3개 외에도 화물칸이나 엔진실, 쓰레기 처리장처럼 순수하게 탐험을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으니 퀘스트만 수행하는 유저가 아니라면 꼼꼼히 둘러보는 것이 좋다. 발전기를 파괴하는 과정에서 각 방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 로봇 조립실 : [[소마(폴아웃 3)|소마]]를 데려갈수있다. 중간에 소마와 잠깐 작별하게 되므로 소마 자체와 상호작용하는 부분은 크지 않다. 다른 방에 비해 드론 적의 비중이 큰 편인데 여기서 에일리언을 죽이다보면 얻을 수 있는 드론 컨트롤 디바이스 성능이 좋아 가장 먼저 가야할 곳으로 꼽힌다. 해당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으면 거치된 외계인 드론을 하나씩 아군으로 만들수 있기 때문. 이렇게 아군이 된 드론은 죽을때까지 외로운 방랑자를 따라다닌다. * 냉동연구실/냉동저장고 : 냉동된 지구생물체를 보관한 장소. [[엘리엇 테코리언]]를 동료로 데려갈수 있다. 여기서는 은신으로 다니다가 해동 스위치를 눌러서 지구 생물체를 해동시키는 것이 게임진행에 훨씬 수월하다. 특히 중간에 나오는 야생 구울 리버와 슈퍼 뮤턴트 오버로드는 일반적인 적보다 훨씬 강력하다. 다만 그렇게 해동된 야생 구울 리버나 슈퍼 뮤턴트 오버로드는 플레이어 일행에게도 적대적이기 때문에 잘 생각해서 해동해야 한다. 중간에 냉동된 미군 2명을 해동시켜 임시로 데리고 다닐 수 있으며 엘리엇 테코리언을 데리고 와서 특정 이벤트를 보면 그 뒤로 냉동 수류탄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 격납고 : 소형 비행선을 격납시켜놓은 장소. [[폴슨]]을 데려올 수 있다. 이 방의 구조는 가장 간단한 편인데 제어실에서 버튼을 누르면 엄청나게 많은 수의 에일리언들이 쏟아져 나온다. 그런데 여기서 미련하게 모든 에일리언을 직접 상대하려면 적들이 계속 나와서 애로사항이 꽃필 것이고 최소한 폴슨은 무조건 죽는다. 그보다는 제어실에 있는 5개의 버튼을 적절히 눌러 소형 비행선 근처에 박힌 기둥으로 에너지 장을 폭발시켜 에일리언을 처리하다보면 쉽게 전투를 끝낼 수 있다. 에너지 폭발을 피해 제어실로 진입한 일부 적만 죽이면 된다. DLC 중반의 무기 연구실(Weapon Lab)에서 [[개틀링 레이저]]나 [[테슬라 아머]] 같은 지구 무기를, 화물칸에서는 [[MPLX 노바서지]]같은 유니크 무기를 획득할 수 있지만 그 외에 지구 아이템은 전혀 루팅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한 무기와 탄약, 버프 아이템을 넉넉하게 챙겨오는 편이 낫다. 비밀스러운 곳이 꽤 많이 있으며, 거기서 여러 가지 진귀한 아이템들을 손에 넣을 수 있다. 일부는 동심 퍽을 가진 상태에서 [[샐리(폴아웃 3)|샐리]]와 대화하다보면 들어갈수 있는 비밀방에서 얻을 수 있다. 모선에서 외계인들에게 납치당한 사람 및 [[레이더(폴아웃 시리즈)|레이더]]나 [[야생 구울]]과 [[슈퍼 뮤턴트]]들을 볼 수 있고 외계인들에게 납치당한 사람들의 기록을 읽어보는 것도 재미있다. 단순한 취객에서 볼트-텍 간부와 미국의 정치가, 심지어 1960~70년대 미국 우주비행사나 서부시대 카우보이와 전국시대의 사무라이까지 계층 및 시간대도 다양하고, 메인 NPC들의 대화도 나름 흥미 있다. 외계인들의 괴악한 취미를 보는 것도 재미의 한 요소. 우주선 안의 어떤 구역에는 아무래도 지구를 향해 발사할 예정이었을 레이저 포가 있는데 생존자 일행들이 부르는 이름은 '데스 레이(Death Ray)'. 방향은 지구 방향과 우주 어딘가로의 방향 두 가지로 설정되어 있는데 마음대로 발사해볼 수도 있다. 지구에 발사하면 뭔가 맞은 자리에 영 좋지 않은 일이 발생한 것 같은 폭발을 볼 수 있지만 카르마에 영향은 없다. 메인퀘스트를 마친 뒤에도 난파선 내에 에일리언 2명 정도가 일정시간으로 리젠되어 어느 정도 아이템을 뜯어낼 수 있다. 또한 생존자들이 이런저런 아이템들을 무상으로 제공해준다. 그리고 우주선에서 주운 여러 외계병기들은 상당한 고성능 장비들이다. 이녀석들만 있으면 황무지 일대를 정복하고도 남는다. 게임 중간중간 보이는 회복 아치(healing archway)를 잘만 활용한다면 생각보다 체력 소모는 심하지 않다. 회복 아치는 평소에는 전체 체력의 75%까지만 회복시켜주고 15초간의 쿨타임을 가지지만 과학 스킬이 75가 넘는다면 전체 체력 100%를 회복하도록 바꿀 수 있다. 다만 이렇게 바꿔놓으면 3번 밖에 쓸 수 없게 된다. 또한 과학스킬이 50 넘는다면 고장난 채 방치된 드론을 수리하여 아군으로 삼을 수 있고 일부구간에서는 폭발 시간을 벌 수있는 스킬 체크가 등장한다. 이렇듯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과학스킬을 올리고 오는 편이 좋다. 그 외의 비전투 스킬(의료, 수리, 락픽 등)은 이 DLC에서 별 쓸모가 없다. 중후반에 등장하는 우주 비주얼 장면은 이 DLC에서 가장 인상깊은 구간 중 하나다. 우주복을 입고 우주선 밖을 걸어다닌다거나 우주선에서 바라보는 지구의 모습 등. 이 시나리오의 부제는 'The Last Mission'이다. 그러니까 DLC의 마지막 미션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플레이 시점에서 거의 끝에 이것을 하게 되므로 폴아웃 3 최후의 임무는 마더쉽 제타라고 봐도 무방하다. 외계 모선을 격추하고 털어먹고 아예 통째로 차지하는 등 막나가는 시나리오에 비해 이후 황무지에 끼친 영향은 의외로 미미한듯, 동 제작사의 폴아웃 4는 캐피탈 웨이스트랜드와 가까운 커먼웰스 지방을 배경으로 하지만 외계 기술이 유통된 흔적은 딱히 찾아볼 수 없다. 전쟁 전부터 제타인이라고 불렸다는 음모론 설정이 추가되었고, 지구인인 유일한 생존자가 에일리언 블라스터의 부품 개조를 할 수 있으며, 수집품 가운데 외계인 그림이 그려진 잡지가 있는 정도. 커먼웰스에 원정 온 BOS 파견대도 딱히 언급이 없다. 외로운 방랑자가 고스란히 가져간듯... 이와 관련하여 본작의 보상인 우주선은 [[외로운 방랑자]]가 게임 진행을 통하여 얻은 자산 2개중 하나다.[* 다른 하나는 메가톤의 집/텐페니 타워의 방.] 본 DLC를 통해서 [[외로운 방랑자]]는 드디어 선장(Captain)이라는 호칭으로 불리며 꽤 대우 받는다. 본편 스토리나 더핏, 오퍼레이션 앵커리지, 포인트 룩아웃에서 [[외로운 방랑자]]는 언제나 타인과 다른 팩션([[브라더후드 오브 스틸]], [[아마타 알모도바르|아마타]]. 더 핏의 레이더나 노예 등)의 요구에 응해 싸우고 그 싸움을 통해서도 얻은 게 별로 없었던 반면 본작에서 [[외로운 방랑자]]는 드디어 자신의 생존을 위해 싸운 결과 우주선 통제권이라는 보상을 얻고 선장이라고까지 불린다. 그렇게 보자면 이 DLC는 외로운 방랑자의 여정에 대한 최종 보상인 것.[* 다만 이 우주선을 하우징으로 쓰기엔 여러모로 부적합한데다가, 퀘스트를 끝내고 가볼 수 있는 구간들만 둘러봐도 우주선 상태가 좀 심하게 엉망인걸 알 수 있다. 이거를 더 쓸 수 있는건지는 좀 의문...] 또한 본작에서 등장하는 동료들은 [[소마(폴아웃 3)|소마]]를 제외하고는 전부 [[외로운 방랑자]]처럼 고향을 잃은 존재들이다. [[샐리(폴아웃 3)|샐리]], [[폴슨]], [[엘리엇 테코리언]], [[토시로 카고]] 전부 그렇다. 때문에 DLC 엔딩을 본 상태에서도 이들은 어차피 돌아갈 고향도 없기 때문에 원래부터 황무지인이었던 [[소마(폴아웃 3)|소마]]와 우주선에 거부감을 느끼는 [[폴슨]]을 제외하고 모든 동료는 우주선에 그대로 남는다. 그래서 외로운 방랑자와 비슷한 처지의 이들은 외로운 방랑자가 돌아올 때마다 언제든지 만날 수 있는 존재들이기도 하다. 외로운 방랑자가 더이상 외롭지 않게 된 것. 이 때문에 외로운 방랑자는 이 우주선을 타고 과거의 생존자들과 지구를 떠난 상태라는 팬 가설이 제법 인기를 끌었다.[[https://www.reddit.com/r/falloutlore/comments/4h9mzw/is_the_lone_wanderer_in_space/|#]] 버그가 많기로 유명한 폴아웃답게 여기도 치명적인 버그가 종종 나타난다. 몇몇 특수한 문들은 샐리만이 열 수 있기에 샐리가 열어주길 바라야 하는데 모르고 말을 걸거나 해서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던지, 전송장치로 동료들을 전송시켜야 하는데 전송이 되지 않는다든지, 카우보이 폴슨이 얼굴과 팔만 떠다니고 나머지는 투명해진다든지. 폴슨의 얼굴과 팔만 떠다니는 현상은 한글화시 발생된 버그로 폴슨의 옷의 메쉬파일이 잘못돼서이다. 남성 캐릭터가 입을 경우 투명해지고 여성 캐릭터가 입을 경우 옷이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해결법은 최신 버전 한글화 패치(Fallout 3 goty\Data\Meshes\dlc05\armor\cowboyoutfit\ 폴더에 outfitm2.nif 파일을 넣어줌)를 해주는 것이다. 웹하드나 토렌트에 돌아다니는 대부분의 자료는 최신 패치전 자료들이라 폴슨의 몸뚱아리가 투명하다. 사양이 원본 폴아웃 3보다 상당히 높다. 바로 전 DLC인 [[Point Lookout]]도 사양이 좀 심하지만 Mothership Zeta는 그보다 훨씬 더 높다. 폴아웃 3를 간신히 풀옵으로 돌린다면 Mothership Zeta에서는 버벅거리면서 진행할 수도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